페이지상단으로이동

"2022년까지 미국 대비 90% 기술력 갖추겠다"…과기정통부가 그리는 블록체인 지도

    • 리얼타임즈
    • |
    • 입력 2019-10-17 14:16
    • |
    • 수정 2019-10-17 16:43

정부가 2022년까지 1만명 규모의 블록체인 인력 양성과 100여 개의 블록체인 전문기업을 육성, 미국 대비 90% 수준의 기술력 확보를 목표로 블록체인 특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김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융합정책관(국장)은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블록체인서울2019에서 '정부의 블록체인 기술발전전략과 사업현황'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이같은 계획을 설명했다.

먼저, 김 국장은 현재 국내 블록체인 산업의 문제로 △대중적 확산 부족 △인력 문제 △해외 대비 기술력 부족을 꼽았다.

김 국장은 "블록체인 사업들이 민간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개념검증 수준으로, 대중적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고, 개발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블록체인 기술력도 미국 대비 76.4% 수준으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이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3가지 전략과제로 △초기시장 형성 △기술경쟁력 확보 △산업활성화 기반 조성을 제시했다.

초기 시장 형성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 블록체인 공공선도 사업 6개를 올해 12개로 두 배 늘렸다. 또 민간주도 프로젝트 활성화로 △탈중앙화 기부 플랫폼 △중고차 서비스 플랫폼 △블록체인 ID·인증 네트워크 프로젝트에 각 15억원을 투자했다고 소개했다.

기술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는 지난해 연구개발(R&D)을 시작으로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해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블록체인 기술은 아직도 초기로, 우리가 얼마나 노력하느냐에 따라서 기술 격차를 빨리 추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2022년에는 미국 대비 90% 수준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업활상화 기반 조성과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2022년까지 블록체인 전문인력 1만 명, 전문기업 100개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국장은 "2022년까지 1만명 규모 인력 양성을 목표로 마포에 블록체인놀이터를 운영하고 있고, 석박사급 인력 배출을 위한 대학에 블록체인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블록체인 특화 엑셀러레이터를 통해 2022년까지 100개 전문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창업지원과 BaaS(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블록체인) 공급사업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김 국장은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보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견해에 대해 반박했다. 블록체인 관련 예산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부산 특구 지정 등을 통해 제도 개선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 김 국장의 설명이다.

김 국장은 "정부의 블록체인에 대한 의지는 강하다"면서 "흔히 ICO와 구분하지 않고, 우리나라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보수적인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는데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블록체인 특구를 조성하고 있고, 예산도 해마다 늘어 지난해 150억에서 올해 350억으로 늘었고, 내년은 400억에 달한다"면서 "이러한 예산이 스타트업이나 블록체인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혜택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얼타임즈 | [email protected]

닫기